1

1.2  연구 대상 및 방법 2

1.3  선행 연구 2

1.3.1  한국어 의성어에 관한 선행 연구 2

1.3.2  중국어 의성어에 관한 선행 연구 3

1.3.3  한·중 의성어의 비교 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 4

2.  한·중 의성어의 정의와 품사적 특징   비교 5

2.1  한·중 의성어의 정의 5

2.2 자연현상과 관련된 한·중 의성어 품사적   특징 7

2.2.1 자연현상과 관련된 한국어 의성어 품사적 특징 7

2.2.2 자연현상과 관련된 중국어 의성어 품사적 특징 8

3.  자연현상과 관련된 한·중 의성어 형태적 특징   비교 8

3.1  음절 A 형 9

3.2  음절 AA 형과 AB 형 10

3.3  음절 ABB 형과 ABC 형 12

3.4  음절 ABAB 형과 AABB 형 13

4.  자연현상과 관련된 한·중 의성어 통사적 특징   비교 14

4.1  통사적 기능 14

4.1.1  한·중의 공통적 문법 기능 14

4.1.2  중국어만의 문법 기능 17

4.2  통사적 제약 18

4.2.1  주어,  서술어와의 어울림 제약 18

4.2.2  위치 제약 19

5.  결론 20

참고문헌 22

1. 서론

1.1 연구목적

한국과 중국은 가까운 이웃이기에 문화적 공통점이 많다. 한국 고유의 가치관이 중국인들에게도 많은 공감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한국과 중국이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교류하여서 비슷한 문화를 가졌기 때문이고, 한국 노래의 감정 표현이 중국과 달라서 중국 청소년들이 좋아한다. 그외 한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  경제적 국민소득의 차이도 공감대를 불러 일으키는 원인일 것이다. 또 중국 사람들은 한국인에 대해 창의적이고, 열정적이며 흥이 많다고 생각한다. 상술한 것들은 한류가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주요한 원인들이다. 그리고 한풍의 영향도 커짐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사람과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 사람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대중매체의 급속한 발전으로 중국사람들은 직접 한국에 가지 않더라도 인터넷으로 한국의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을 알아가고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한국 프로그램은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해서 의성어를 많이 쓴다. 일반적으로, 의성어가 잘 활용된 언어는 더욱 생동감 있고 구체적이다. 한국어 어휘는 한자어가 60-70%를 차지하고 있지만 의성어는 모두 고유어여서 외국인들이 실제로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바로 의성어다.

의성어는 사물의 소리나 인간이 내는 소리를 흉내낸 낱말이다. 의성어는 소리를 직접 모방한 것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모방한 것이 아니라 각 언어 나름대로의 기호화 절차를 거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똑같은  소리를  모방한다  하더라도  각 국어마다 서로 다른 의성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의성어는 각 언어 체계의 중요한  일부이다. 의성어는 한국어,  중국어,  영어 등 모든 언어 체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上一篇:精神危机的救赎《红字》的生态批评研究
下一篇:德语论文浅析《格林童话》中的公主形象

德语论文浅析《格林童话》中的公主形象

朝鲜语论文中韩与龙有关的俗语比较研究

德语论文默克尔的难民政策分析

德语论文德国知名旅游城市波恩的成功因素

德语论文从社会心理学的...

德语论文现代德国乳品行...

德语论文格罗皮乌斯设计理念的改变和发展

以建构拓展色彩思维表达...

AT89C51单片机蓄电池性能检测装置的设计

模型库国内外研究现状综述

對企业资金管理的浅析【2205字】

PLC滑块分拣机的输送组件设计+CAD图纸

天蝎座专属昵称四字,天...

计算机网络长距离布线时...

交通路锥国内外研究现状综述

变频调速技术国内外研究现状和发展趋势

浅谈公立医院新會计制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