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서론에서는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연구의 목적, 대상과 방법을 제시한다. 제 2 장 의성어의 정의와 품사적인 특징을 대비 탐구한다.
제 3 장 비, 바람, 번개, 불, 물소리 등 자연현상과 관련된 한·중 의성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비교한다.
제 4 장 비, 바람, 번개, 불, 물소리 등 자연현상과 관련된한·중 의성어의 통사론적 특징을 비교한다. 이 부분은 통사적 기능과 제약으로 나눌 수 있다.
마지막 5 장은 본고의 결론 부분으로서 연구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미와 부족함을 밝히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겠다.
1.3 선행 연구
1.3.1 한국어 의성어에 관한 선행 연구
한국어 의성어는 글이나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낱말 가운데 하나다. 한국에서는 의성어에 대한 연구성과가 많이 되어있다. 선행연구들을 보면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특성 4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윤희원(1993)의 <의성어 의태어의 개념과 정의> 에서는 의성어 의태어에 관한 몇 가지 논의와 정의를 자세히 검토하고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