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의성어와 중국어의 의성어는 정의로 볼 때 큰 차이가 없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사용되고 있는 언어에서는 이런저런 차이가 많이 나타난다. 의성어가 미치는 범위가 아주 넓기 때문에 한 편의 문장에서 다 세심하게 설명할 수 없다. 그 중에서 자연현상과 관련된 의성어는 선명한 특징을 가지고 일상생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자연현상이란 자연계에서 스스로 일어나는 모든 사물의 현상을 말한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변함없이 일어나며, 변화가 반복하여 일어나기도 한다. 자연의 제일성이라는 원칙으로는 일정 범위의 생물이 똑같은 특색을 지니는 ‘공존(共存)의 제일성’ 과 같은 원인이 똑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계기(繼起)의 제일성'이 있다. 1 비, 바람, 번개, 불, 물소리는 소설, 시, 만화 등 다양한 텍스트에 나타날 뿐만 아니라 입말에도 사용되어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할 수 있다. 한·중 비, 바람, 번개, 불, 물소리를 대비 연구 하면 한국어나 중국어를 구사하는
1 출서: 물백과사전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중 의성어가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어를 배울 때 큰 어려움을 느낀다. 또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이 비, 바람, 번개, 불, 물소리의 의성어를 일상 대화에서 많이 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한·중 의성어의 정의와 문법범주를 검토하고, 비, 바람, 번개, 불, 물소리등 자연현상과 관련된 한·중 의성어의 형태적, 통사적 특징을 바르게 파악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두 나라의 언어별 특징을 비교적 쉽게 이해하고 한국어 학습자와 중국어 학습자들이 의성어를 배울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조심스럽게 기대해본다.
1.2 연구 대상 및 방법
자연의 소리란 인간이 인위적으로 내거나 인간이 만든 인공적인 물건을 이용해 내는 것이 아닌 소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자연현상과 관련된 의성어는 많이 있다.
본고는 비, 바람, 번개, 불, 물소리 등 자연현상과 관련된 한·중 의성어를 주로
『표준국어대사전』과 《现代汉语词典》에서 수록한 비, 바람, 번개, 불, 물소리들과 관련된 모든 의성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품사적 특징, 형태적 특징, 통사적 특징과 그 이동점을 밝히고자 한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1) 한·중 자연현상과 관련된 의성어의 특징을 대비 하기 위해 대조언어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의성어와 중국어 의성어와 비교함으로써 관련된 의성어의 언어 보편적 특성과 개별성 특성을 고찰할 것이다.
2) 한국어자료는 『표준국어대사전』과『흉내말 전문사전』이 1 차 자료가 되고 중국자료는 《现代汉语词典》 과 《象声词词典》 이 1 차 자료가 된다.
상술한 연구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내용을 전개할 것이다.